현재위치 : > 뉴스 > 사회 > 교육 · 행정

4차산업혁명위원회, '산업계 중심의 지원체계 구축에 주력해야'

입력 2017-08-09 12:16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우리나라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 스마트팩토리를 비롯한 제조업 혁신에 가장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박용현, 이하 산기협)는 지난 7월18일부터 4일간 기업연구소를 보유한 기업 424개사를 대상으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업 이해와 대응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기업 입장에서 바라보는 4차 산업혁명의 성격과 관련해 응답기업의 44.6%가 ‘디지털기반시설을 활용한 제조업/서비스업 혁신(스마트팩토리 등)’을 택해, 많은 기업들이 현재 사업의 고도화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에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모든 사물을 상호 연결하고 지능화하는 사물인터넷(31.6%), 디지털 역량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O2O(14.4%), 인공지능(6.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4차 산업혁명과 현재 사업간 관련성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82%가 보통 이상의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72.6%의 기업은 현재 경영상에서 보통 이상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응답하는 등 상당수의 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변화를 체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업과 관련성이 있다고 응답한 82%의 기업도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준비는 아직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사업분야가 4차 산업혁명과 관련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 중에 일부사업을 추진 중인 기업은 15.7%, 구체적 사업계획을 수립 중인 기업은 6.6%로, 22.3%의 기업만이 적극적인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35.7%의 기업은 기술적 가능성 탐색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21.6%의 기업은 사업화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의 24.4%가 4차 산업혁명 관련 일부 사업을 진척시키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은 14.4%만이 관련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중소기업의 사업화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문인력 확보도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기업 중 전문인력을 일정수준 이상 확보하고 있다는 기업은 13.3%에 머물렀으며, 전혀 확보하지 못했다는 응답은 13.1%에 달했다. 대기업 중 전문인력을 전혀 확보하지 못했다는 응답은 7.5% 수준이었으나, 중소기업은 13.9%의 기업이 인력을 전혀 확보하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 관련 대응이 미진한 데 대해 기업들은 정보부족(44.9%)과 자금부족(28.3%)을 이유로 꼽아, 기업의 규모와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지원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기업들은 곧 출범하는 4차 산업혁명위원회가 실질적인 산업계 지원을 위해서 ‘산업계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정책에 실제적 반영체계 구축(77.9%)’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구체적인 R&D지원책으로 기술사업화 지원(22.7%)과 R&D세제지원(21.0%) 순으로 꼽았다. 기업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은 기술사업화(24.0%)와 세제지원(21.5%)이라고 응답한 반면, 대기업은 기초연구(21.1%)와 규제정비(19.3%)를 꼽았다.

전문인력 확보와 관련해서는 전문인력과 기업간 연계 및 매칭(43.7%)과 기업밀착형 교육과정 개발(32.9%)을 우선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김성우 상임이사는 “세계 각국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4차 산업혁명의 성패는 기업의 능동적인 참여에 달려있는 만큼, 새롭게 출범하는 4차 산업혁명위원회가 산업계 중심으로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지원에 중점을 둘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동홍 기자 khw090928@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